Computer Science/Server

[Linux] 리눅스 호스트네임 설정 - hostnamectl

귀찮은 개발자 2024. 2. 10. 14:56

 

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 호스트네임은 localhost.localdomain 가 된다.

리눅스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hostnamectl 을 통해 서버마다 호스트네임을 지정할 수 있다. 

호스트네임 지정을 통해 docker-swarm 설정을 진행할 때 호스트 구분하기가 쉬워진다. 

호스트네임 확인 

hostnamectl 은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로 옵션없이 사용하거나 status 옵션을 주면 현재 정보를 출력한다.

터미널에 hostnamectl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 

ubuntu@server-no1:~$ hostnamectl
 Static hostname: server-no1
       Icon name: computer-vm
         Chassis: vm
      Machine ID: d785261a678a42daa1c8917f2251c46f
         Boot ID: ba5526968f0b47a7b3b10bab1ce6b893
  Virtualization: kvm
Operating System: Ubuntu 23.04
          Kernel: Linux 6.2.0-39-generic
    Architecture: x86-64
 Hardware Vendor: OpenStack Foundation
  Hardware Model: OpenStack Nova
Firmware Version: 2:1.10.2-58953eb7

호스트네임 변경

ubuntu@server-no1:~$ sudo hostnamectl set-hostname docker-swarm-01

ubuntu@docker-swarm-01:~$ hostnamectl
 Static hostname: docker-swarm-01
       Icon name: computer-vm
         Chassis: vm
      Machine ID: d785261a678a42daa1c8917f2251c46f
         Boot ID: ba5526968f0b47a7b3b10bab1ce6b893
  Virtualization: kvm
Operating System: Ubuntu 23.04
          Kernel: Linux 6.2.0-39-generic
    Architecture: x86-64
 Hardware Vendor: OpenStack Foundation
  Hardware Model: OpenStack Nova
Firmware Version: 2:1.10.2-58953eb7

 

IDC 에서 제공하는 베어메탈, 클라우드 서버 등을 사용하다 보면 vps-d988c510 와 같은 호스트네임을 가질 수 있다. 

이러한 호스트네임을 기억하는건 쉽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서버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호스트네임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.